뇌 그리고 관련 과학·의료 기술

눈 eye :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감각기관

neoelf 2019. 1. 8. 08:16
728x90

 

눈 eye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감각기관

 

눈의 구조

위치 : 머리

정의 : 눈은 시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전기•화 학 정보로 변환하여 시신경이라는 통로를 통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관이다.머리 앞, 얼굴 상부에 위치한다.

하위기관: 눈은 크게 안구(눈알)과 눈 부속기관으로 나눈다. 안구는 외막, 중막, 내막, 안 내용 물로 나뉘며, 눈 부속기관은 눈구멍(안와), 결막, 눈꺼풀, 눈물기관, 바깥눈 근육(외안 근)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 안구 - 외막 : 무혈관성 섬유층으로 안구의 가장 바깥을 차지한다. 각막과 공막으로 이루어 진다. - 중막 : 혈관성 조직으로 많은 색소를 포 함하며 포도막이라고도 한다. 홍채, 모양 체, 맥락막으로 구성되며 망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 내막 : 맥락막 내면을 덮고 있는 신경조 직인 망막으로 구성된다. - 안 내용물 : 수정체, 유리체, 방수(안방수) 로 이루어져 있다.

2. 눈 부속시관 - 눈구멍(안와) : 눈알을 담고 있는 공간으 로 외벽인 눈구멍뼈(안와골)과 눈구멍 내 용물(안와 내용물)로 구성된다. - 결막 : 눈꺼풀 뒤쪽과 눈알의 앞쪽 공막 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이다. - 눈꺼풀 : 눈알을 보호하고 눈물을 분포시 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의 양을 조절한다. - 눈물기관 : 눈물기관은 눈물을 분비하는 눈물샘과 배출하는 눈물배출계로 나뉜다. - 바깥눈 근육(외안근) : 눈구멍 내에 6개 의 바깥눈 근육(4개의 곧은근과 2개의 빗 근)이 있으며 안구를 움직이는 역할을 한 다.

형태 및 구조 : 안구는 구형으로 각막의 중앙을 전극이라 하고, 공막 후면의 중앙을 후극이라 하며 이 양극을 잇는 가상의 선을 시각축(안축) 이라고 한다. 시각축의 길이는 평균 24m m, 폭은 23.6mm, 높이는 23.3mm이며 안구의 부피는 약 6.5ml이다.

눈구멍은 7개의 뼈로 이루어지며(이마뼈, 벌집뼈, 눈물뼈, 위턱뼈, 광대뼈, 나비뼈, 입 천장뼈) 내외, 상하 4개의 면을 가진 피라 미드 모양이고 그 부피는 약 30ml이다. 눈 꺼풀은 위눈꺼풀과 아래눈꺼풀이 있으며 위눈꺼풀은 눈썹으로 경계되나 아래눈꺼 풀은 경계가 없다. 위아래 눈꺼풀은 피부 층, 근육층, 눈꺼풀판, 결막으로 이뤄진다. 눈물샘은 주 눈물샘과 덧 눈물샘으로 나뉘 는데 주 눈물샘은 눈구멍 위쪽 바깥면의 눈물샘 오목 안에 위치한다. 눈물배출계는 내측 눈구석에서 약 5mm 떨어진 위아래 눈꺼풀 테에 위치하는 눈물점으로부터 시 작하여 눈물소관, 공통눈물소관을 거쳐 눈 물주머니로 이어진다. 눈물주머니는 눈구 멍 내벽 앞쪽에 위치하는 눈물주머니 오목 에 위치한다. 눈물주머니는 다시 코 눈물 관으로 이어지며 하비강의 외벽에 개통된 다.

기능 눈은 시각정보를 수집하여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눈의 여 러 구조물들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 어떤 물체가 있을 때 시선이 정확히 물체에 맞 도록 바깥눈 근육이 작용하여 안구가 움직 여야 한다. 또한 적당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동공의 수축과 확대가 적절히 이루 어져야 한다. 이러한 동공의 수축과 확대 는 홍채, 모양체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 다. 모양체와 수정체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이 정확히 망막에 맺히도록 초점이 맞춰 진다. 망막에 도달한 시각정보는 시세포에 서 전기자극으로 바뀌고 망막의 신경절세 포, 신경섬유층을 거쳐 시신경 유두를 통 해 시신경으로 전달된다. 눈구멍 및 눈알 의 외막, 눈꺼풀은 외부로부터 눈알을 보 호하는 역할을 하며, 눈물의 생성과 배출 을 통해 눈알 표면에 적당한 눈물이 덮여 있게 함으로써 각막의 표면을 매끄럽고 균 일하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관련 질병 당뇨망막병증, 백내장, 건성안, 녹내장, 황 반변성, 사시, 굴절이상, 부안검(덧눈꺼풀), 미숙아망막병증 등

관련 검사 시력검사, 굴절검사(안경검사), 색각검사, 안압검사, 세극등현미경검사, 안저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