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눈물샘 신경을 고문. 실제로 눈물샘인 곳이 퉁퉁 부워오를 뿐 아니라, 눈물샘 신경이 지나는 부위도 멍이 듬. 지난 번에 마치 아이쉐도 칠한 것처럼 갈색으로 멍든 부위가 눈물샘 신경과 눈신경 분지였음.
2. 안와아래신경. 하루 혹은 이틀 걸러 당하는 곳인데 후두엽이나 측두엽에 있는 시신경을 따라 전자기파 고문이 들어오면 어김없이 눈이 시리고 통증이 있은 뒤 다크써클 부위가 부워서 툭 튀어나옴. 그곳이 안와아래신경이었음.
3. 혀가 따가워서 미주신경이나 설인신경을 건드리나보다 했는데 거기 말고도 삼차신경을 건드려도 혀가 따가움.
4. 치아 자체의 신경을 건드릴 수도 있겠지만 삼차신경을 건드려도 치아의 잇몸 신경이 부워서 통증 유발. 지난 번에 골융기에 대해 말했었는데 턱끝신경인 치아 뿌리를 장기간 고문해서 생긴 증상임.
5. 삼차신경 중 제 1분지인 안신경은 <결막>에 있다고 함. 그래소 삼차신경 중 안신경을 건드리니 계속 결막에 통증이 있는 거임.
결막에 손상을 가하면 결막 결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함. 원인은 다양한데 그 중 과도한 눈화장도 그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함. 그래서 이 가해자 개쓰레기 새끼들이 일부러 얼마 전에도 그랬고 어제도 출근 준비하려고 눈화장하는데 내 손목의 근육을 조종해서 아이쉐도 브러쉬가 내 눈을 찌르게 했음. 어제는 아예 브러쉬가 내 흰자위를 스쳐지나게 만드는 개수작을 부림. 내가 혹여나 안과가면 내 눈화장으로 인해서 결막 결석이 생긴 것처럼 만드려고... 아주 개쓰레기 새끼들임. 결막 결석의 증상은 이미지 첨부.
5. 삼차신경 중 안신경으로 가는 통각수용기는 자율신경인 부교감신경과 측두엽의 시상하부와도 관련이 있다고 함. 내가 피해일지에 자주 언급했던 부위인 측두엽 시상(시상하부)과 자율신경이 역시나 삼차신경 중 안신경과 관련이 있었네.
6. 말초신경 중 12개의 뇌신경을 골고루 실험 당하는데 그 중 삼차신경과 미주신경을 최근들어 집중 당하고 있다. 또한 자율신경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도 집중 실험 당하는데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자율신경과 미주신경은 공통되는 사항이 많다. 첨부한 이미지의 척수신경에서 보이는 내장신경 (각각의 내장)들도 내가 매일 같이 고문 받는 곳이다. 근데 아까도 언급했지만 이러한 내장신경과 미주신경, 시상하부(뇌하수체)부위는 중복되는 곳이 많다.
7. 발목의 양쪽 복숭아뼈에 전자기파 공격이 많이 들어와서 그 부위에 피부염증이 생겼는데 그 부위가 삼차신경이 지나는 지점이라고 한다.
8. 모든 뇌신경은 감각신경, 운동신경, 혼합신경인데 그래서 이러한 신경 하나하나를 실험하기 위해서 나의 몸은 1초도 쉬지 않고 고문이 들어오고 있다. 참고로 운동신경은 전두엽 부위이고 감각신경은 정수리에서 두정엽에 이르는 곳까지이다. 관심있는 피해자들은 꼭 호문클루스 영역을 공부해 봤으면 좋겠다. 감각신경들의 중계소가 측두엽 시상이라서 측두엽이 매일같이 쪼개지는 고통이 있고 운동 신경은 전두엽 부근과 소뇌라서 그 부분도 고통이 가시지 않는다. 참고로 시상은 대뇌피질의 연결성에 관여하는 중요부위인데 시상이 감각의 중계소라서 이를 대뇌피질에 연결하면 대뇌피질은 이를 판단해서 운동신경에 명령을 내린다.
'뇌 생체 실험 마루타 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전자기파 염증 자리를 보고 알 수 있는 실험 부위 1탄 ☞ 내분비와 신경계 (0) | 2019.01.13 |
---|---|
[스크랩] 2018년 10월 18일 피해일지 (오전엔 승모근 통증, 오후엔 삼차신경 통증) (0) | 2019.01.13 |
[스크랩] 2018년 10월 16일 ~17일 피해일지 (0) | 2019.01.13 |
[스크랩] 눈에 들어오는 피해 증상을 하나하나 검색해 보니 「망막 박리증」과 똑같네요. 심하면 실명까지 갈 수 있다고 합니다. (0) | 2019.01.13 |
[스크랩] 잇몸에 골융기 증상이 생겼네요. 혹시 이런 피해 부작용 생긴 피해자분 있으신가요?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