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그리고 관련 과학·의료 기술

우리의 피부와 장, 폐, 질 등은  미생물이 가득하다.  미생물에서 DNA 중합효소를 얻을 수 있다.

neoelf 2020. 1. 19. 01:07
728x90

숙주 [宿主]

생물] 기생 생물이 기생의 대상으로 삼는 동물이나 식물.

 

숙주에 기생하다. / 겨우살이는 참나무나 버드나무 따위를 숙주로 하여 영양을 얻는다.

 

 

바이러스 virus

 

살아있는 생물 안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감염성이 있는 작은 미생물입니다. 바이러스는 사람, 동물, 식물, 세균 등 모든 형태의 생물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복제하는 과정에서 숙주에 자신의 유전자를 끼워 넣다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는 유전자 돌연변이 매개물질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시 말하면 암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은 유전자 변이이고 그런 변이를 일으키는 여러 요소 중에 바이러스가 작용을 한다는 것입니다

 

 

https://ruins880.tistory.com/m/67

 

https://livelive.tistory.com/465

 

 

@@@@@@@@@@@@

 

링크된 자료를 읽고 정리하자면 뇌세포 DNA 바이러스는 복제 과정에서 숙주에 (피해자의 몸에) 자신의 유전자를 끼워 넣다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균이나 암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다.

 

유전자 변이는 단백질 아미노산의 서열 변화에 기인한다.

 

단백질이 바이러스 유사 구조를 이용하여 세포 간에 정보를 전달한다고 제안했다. 이것은 장기 기억 형성과 여러 신경 기능의 열쇠가 될 수있는 새로운 형태의 세포 통신인 것이다.

 

우리의 피부와 장, 폐, 질 등은  미생물이 가득하다.  미생물에서 DNA 중합효소를 얻을 수 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영어: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DNA의 원하는 부분을 복제·증폭시키는 분자생물학적인 기술이다.

 

이 기술은 사람의 게놈과 같은 매우 복잡하며 양이 지극히 미량인 DNA 용액에서 연구자가 원하는 특정 DNA 단편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증폭에 필요한 시간이 2시간 정도로 짧으며, 실험 과정이 단순하고, 전자동 기계로 증폭할 수 있기 때문에, PCR과 여기서 파생한 여러가지 기술은 분자생물학, 의료, 범죄 수사, 생물의 분류 등 DNA를 취급하는 작업 전반에서 지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DNA 중합효소는 ▲유전병 진단 ▲에이즈.암등 각종 질환의 조기 진단 ▲유전자 지문을 이용한 범죄수사 ▲인체의 DNA 유전 정보 해독등에 폭넓게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