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질문이에요! **"Be entitled to"**는 원래 **“~할 자격이 있다”**는 중립적 표현이지만,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특권 의식에 젖은, 갑질하는 태도”**를 비판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entitled"만으로도 **“당연한 권리인 줄 아는 사람”**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
1. 손님이 지나치게 요구할 때
A: I’ve been waiting for five minutes. I demand a free dessert!
B: I'm sorry, sir, but you're not entitled to free items just because of a short wait.
→ (5분 기다렸다고 디저트 공짜로 달라는 건) 그럴 자격 없어요.
---
2. 직장에서 갑질하는 상사
Boss: I expect everyone to stay late. I’m entitled to full dedication from my team.
Employee: With all due respect, we also have families and personal lives.
→ 전 직원이 헌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 지나친 특권 의식이에요.
---
3. 친구가 계속 일방적으로 요구할 때
A: You should drive me home. I’m your best friend.
B: Being close doesn't mean you're entitled to favors all the time.
→ 친하다고 매번 부탁 들어줄 의무는 없어.
---
4. 식당에서 갑질하는 고객
Customer: I’m paying, so I’m entitled to treat the staff however I want.
Waiter: That’s not how respect works, sir.
→ 돈 낸다고 아무렇게나 대할 권리는 없어요.
---
5. 부모가 자식에게 지나친 기대를 할 때
Parent: After everything I’ve done, I’m entitled to control your choices.
Child: I appreciate your sacrifices, but that doesn’t give you control over my life.
→ 부모의 희생은 존중하지만, 삶을 통제할 권한은 없어요.
-
---
1. I'm sorry, sir, but you're not entitled to free items just because of a short wait.
구문 분석:
I'm sorry, sir,
→ 감탄문 / 정중한 표현
→ "죄송합니다, 손님"
but you're not entitled to free items
→ but (접속사: 그러나)
→ you are not entitled to ~ (너는 ~할 자격이 없다)
→ free items (공짜 물건들)
just because of a short wait
→ just because of ~ (단지 ~때문에)
→ a short wait (잠깐의 기다림)
해석:
"죄송하지만, 손님. 단지 잠깐 기다렸다는 이유로 공짜 물건을 받을 자격은 없습니다."
---
2. I’m entitled to full dedication from my team.
I am entitled to ~
→ 나는 ~할 자격이 있다 (여기선 ‘특권의식’ 느낌)
full dedication
→ 전적인 헌신
from my team
→ 내 팀으로부터
해석:
"나는 내 팀의 전적인 헌신을 받을 자격이 있어." (→ 갑질하는 뉘앙스)
---
3. Being close doesn't mean you're entitled to favors all the time.
Being close
→ 친하다는 것
doesn't mean ~
→ ~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you're entitled to favors
→ 너는 호의를 당연하게 여긴다
all the time
→ 항상
해석:
"친하다고 해서 항상 호의를 베풀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야."
---
4. I’m paying, so I’m entitled to treat the staff however I want.
I’m paying,
→ 내가 돈을 내고 있어
so
→ 그래서
I’m entitled to treat the staff
→ 직원들을 대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however I want
→ 내가 원하는 대로
해석:
"내가 돈을 내니까, 직원들을 내가 원하는 대로 대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
(→ 권력남용)
---
5. After everything I’ve done, I’m entitled to control your choices.
After everything I’ve done,
→ 내가 그동안 해온 모든 것들 이후에
I’m entitled to ~
→ 나는 ~할 자격이 있다
control your choices
→ 너의 선택을 통제하다
해석:
"내가 지금까지 해준 걸 생각하면, 너의 선택을 통제할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
---
'영어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 what is coming to someone (0) | 2025.04.21 |
---|---|
Whatever I want vs However I want (0) | 2025.04.20 |
edge closer to ~ (0) | 2025.04.20 |
be hovering right around (0) | 2025.04.20 |
sheep (0) | 2025.04.20 |